본문 바로가기

이런 저런 이야기

표류 하거나 조난 당했을 때 바닷물을 마시지 말라고 하는 이유!

반응형

바다에서 표류하는 장면이 나오는 영화에서 종종 갈증에 바닷물을 마시려하면 주변 사람들이 말리는 장면이 종종

 

나오는데요...

 

 

바닷물을 먹으면  안된다고 대부분 알고 있지만 왜 안되는지 정확히 아는 분들이 의외로 적어서 오늘 알려드립니다.

 

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사람이 바닷물을 마시면 **탈수(dehydration)**로 인해 죽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.

 

이는 바닷물의 높은 염분 농도 때문인데, 그 이유를 간단히 설명해 드리겠습니다..

1. 삼투압(osmosis) 현상

우리 몸의 세포는 일정한 염분 농도를 유지해야 정상적으로 기능합니다. 하지만 바닷물은 **평균 염분 농도가

 

3.5%**로, 우리 몸의 체액(약 0.9%)보다 훨씬 짜죠.

 

 바닷물을 마시면 고농도의 염분이 혈액 속으로 들어오면서 세포 내의 물이 빠져나가게 됩니다.

 

이 과정이 계속되면 세포가 수축하고 기능을 잃게 되어 탈수가 심해집니다.

 

2. 신장이 감당할 수 없는 염분량

우리 신장은 몸속 염분을 제거하기 위해 소변을 통해 물과 함께 배출합니다.

 

하지만 신장이 배출할 수 있는 최대 염분 농도는 약 2% 정도예요.

 

 바닷물(3.5%)은 신장이 처리할 수 있는 한계를 넘어서므로, 몸속에 남은 염분을 희석하려면 더 많은 물이

 

필요하게 됩니다. 결국, 체내 수분이 오히려 빠져나가면서 더 심한 탈수 상태가 됩니다.

3. 신경 및 장기 기능 마비

탈수가 심해지면 혈액이 끈적해지고, 혈압이 떨어지며, 신경과 근육 기능이 저하됩니다. 심하면 환각, 발작, 신장 손상, 심정지까지 발생하여 사망에 이를 수 있어요.

결론

바닷물을 마시면 수분을 보충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더 많은 수분을 잃게 되어 탈수로 인해 사망할 수 있습니다. 따라서 표류하거나 조난당했을 때 바닷물을 마시는 것은 절대 금물!

반응형